한국은행이 주장하는 저출산의 이유

최근글


새댓글


네고왕

더보기
  • 유머
  • 만화
  • 해외
  • 숏츠
  • AI
  • 후방
실시간 베스트

한국은행이 주장하는 저출산의 이유

bt1668e3ed44c9c176fec6d30c8ab503d7.png

한은이 밝힌 핵심 저출산 이유.

이것은 동의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한데 이어지는 수도권 집중화에 대한 분석이 매우 흥미롭다. 



bt8f7e4329953865be41c7c95bc5e0b24f.png

본래 총생산 기준 수도권 집중화는 50%정도로 유지됐다. 

그것이 2015년을 기점으로 50%를 넘어선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bt2cb02564b5bea8319a5120a05c3a738d.png

바로 미국의 셰일 개발이다.

이게 왜? 


셰일이 개발되고 미국은 알다시피 최대 원유 생산국이 된다. 

이것은 기존 생산국들과의 경쟁을 불러온다. 



bt94184d773ec9e3b9862ddc4a2c4b17a4.png

특히 원유의 제왕 사우디가 이걸 매우 좋지 않게 생각하고 셰일을 죽이기로 결정한다. 

생산을 늘려 원유가격을 낮춰 셰일 산업을 망하게 하려 한 것이다. 


문제는 잘 안 된다. 

원유가는 모두의 상상을 초월하게 내려간다. 



btb2c66be9cf78d677562782b5e6d55eef.png

100달러 하던게 25달러까지 1년 남짓만에 내려갈 정도다.

이게 왜 문제인가? 


한국의 비수도권의 주요 산업단지는 원유가격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보통은 원유가가 높은면 더 좋은 경향이 있다.


그런데 원유가가 일년 정도만에 반의 반 토막?

산업이 엄청나게 흔들린다.


우리가 이때 위기를 겪은 가장 잘 알고 있는 산업이 바로 조선업이다. 



bt3469b44da1cd023dfd9c20ff648141ec.png

이런 위기로 인해 지역의 서울로 유입되는 인구의 특성에는 커다란 변화가 생긴다. 


2015년 전에는 지방의 고학력, 고소득 집안 사람들이 이동했는데,

이후로는 그런게 없다. 그냥 전부 이동한다. 


원유가로 인한 제조업 산업의 위기를 겪고

지방 사람들이 전부 자기 지역의 산업에 대해 불안함을 느끼게 된 것이다. 



btd5213bd65fa475f929c1ff77f3f0ef36.png

본래 이렇게 되면 수요공급에 따라서 

지역의 임금이 올라 다시 사람들이 지방에 돌아오거나 정착해야 한다. 


하지만 2015년을 기점으로 이게 작동하지 않는다. 

기업도 옮겨갔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업이 옮겨가서 그들을 상대로 하는 지방 서비스업이 쇠퇴한다.

서비스업은 전통적으로 여성들의 주취직처였기에 여성들도 수도권으로 이동하게 되는 현상을 부른다.



bt37d5938d084e7333f0a25a6dc110b311.png

결과 지방의 청년층 순유출이 2015년을 기점으로 급격화 되면서 

총생산 50%를 유지하던 수도권 집중화가 이걸 돌파하며 극심해지고,

그로 인해 세계역사에 유례를 찾기 힘든 저출산 현상을 맞이하게 됐다는 것이 한은의 분석이다. 


한국의 저출산 까지는 모르겠으되, 

셰일이 수도권 집중화를 불러왔다는 분석이 흥미로워 가져왔다. 


1 Comments
한국은 그런거 아니었어도 수도권 집중화가 60년대부터 지금까지 계속 있아왔음
  • 유머
  • 만화
  • 해외
  • 숏츠
  • AI
  • 후방
실시간 베스트
포토 제목